본문 바로가기

신라

(2)
'이란판 단군신화' 속 페르시아 왕자·신라 공주의 '사랑'과 '전쟁' [이기환의 Hi-story] [경향신문] 벌써 13년이 훌쩍 흘렀네요. 2008년 초에 이란을 답사하고 있었는데 테헤란에서 이주 흥미로운 광경을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이란 젊은이들이 답사단 멤버인 한국 여성들을 보고 ‘양곰이 양곰이’하고 몰려들었던 겁니다. ‘양곰이가 누구야’ 했더니 글쎄, 드라마 대장금의 ‘장금이(Janggumi)’의 이란식 발음이었습니다. 영국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던 이란의 서사시인 . 이란학자의 번역결과 서사시에는 ‘Bashilla(바실라·더 좋은 신라)’, 즉 신라와 관련된 내용이 800여쪽 중 500여쪽에 달했다. ■이란과 한국의 공통적인 역사 2006~2007년 사이 이란 국영 채널 2에서 방영된 ‘대장금’이 평균 시청률 85~90%에 달할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모았는데요. ‘대장금’ 외에도 ‘주몽’과 ‘동이..
한국인들이 모르고 있는 신라사(#1.) 한국인들이 모르고 있는 신라사(#1.)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한동안 연구에 몰두하다보니 포스팅을 못했읍니다흥미로운 사실하나 올려볼까 합니다 ◐ 세상 곳곳에는 왜 가 존재할까?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세계 지명을 두루 살펴보면 스페인, 이탈리아, 그리스 등 유럽지역에 ^신라(실라)의 옛 소리말 지명들^이 존재하고 있고, 아라비아 반도, 동남아, 중동지역 등등에 신라의 옛 소리말 지명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지명만 있는것이 아니고 실라語, 실라라는 성씨 & 이름 등도 존재하고 있지요 ◐ 중국인들은 그리스(Greece)를 왜 라고 부를까요?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그리스어를 [희랍어]라고 하지요 그런데 중국인들은 을 영문으로 /Xila/라고 표기하..